본문 바로가기
사회 동향

복지예산 증가와 국세수입과 복지재원분담 문제

by 클래식월드 2014. 2. 22.

복지예산 증가와 국세수입과 복지재원분담 문제

안녕하세요^^공무원클럽 김주사입니다.

최근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복지예산 증가 재정지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현재 08년부터

12년도 까지 복지예산 증가는 7.7%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어요.

최근 5년간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 등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가 급증하여 보건복지지출 증가율이 일반정부 재정지출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요.

특히 향후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고용, 가족·보육 등 생활 안정 정책 관련 지출과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 복지예산 증가 지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경제위기 이후 세입여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은 주목해야할 점이에요.

감세정책과 경제위기로 인하여 ’08~’11년 평균 총조세수입(국세+지방세) 증가율(4.8%)

지난 10년 평균 증가율(7.3%)2/3수준이라고 해요.

 

총조세수입(조원)을 보면

(’01) 121.1 (’05) 163.4 (’08) 212.8 (’10) 226.9 (’11) 244.7로 볼 수 있어요.

 

향후 조세수입은 경기 회복세 등으로 경제위기시 대비 호전될 전망이나, 불안정성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해요.

 

국세수입(조원)

(’12) 205.8 (’13) 216.4 (’14) 238.9 (’15) 259.1 (’16) 280.4전망되고 있어요.

 

복지예산의 가파른 증가에 따른 복지재정의 지속가능성 논란 지속은 향후 중요한 논점이 될 것이에요.

 

복지지출 증가율이 OECD 국가 평균에 비해 약 2.5배 빠른 속도이고,

향후 고령화 속도 등을 감안시 복지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에 대한 우려 증가되고 있어요.

 

공공사회복지예산 증가율(OECD STAT 2010 기준)

한국 14.2%, OECD 평균 6.3%이라고 해요.

 

국고보조사업 지방비 매칭문제의 복지예산 증가는

중앙과 지자체의 복지재원분담 및 지자체의 복지재정부담에 대한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요.

최근 0~5세 무상보육 확대에 따른 지방비 매칭비율 부분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갈등이 가시적으로 보인 사례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