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예산 증가와 국세수입과 복지재원분담 문제
안녕하세요^^공무원클럽 김주사입니다.
최근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복지예산 증가 재정지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현재 08년부터
12년도 까지 복지예산 증가는 7.7%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어요.
최근 5년간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 등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가 급증하여 보건복지지출 증가율이 일반정부 재정지출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요.
특히 향후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고용, 가족·보육 등 생활 안정 정책 관련 지출과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 복지예산 증가 지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경제위기 이후 세입여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은 주목해야할 점이에요.
감세정책과 경제위기로 인하여 ’08~’11년 평균 총조세수입(국세+지방세) 증가율(4.8%)은
지난 10년 평균 증가율(7.3%)의 2/3수준이라고 해요.
총조세수입(조원)을 보면
(’01) 121.1 → (’05) 163.4 → (’08) 212.8 → (’10) 226.9 → (’11) 244.7로 볼 수 있어요.
향후 조세수입은 경기 회복세 등으로 경제위기시 대비 호전될 전망이나, 불안정성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해요.
국세수입(조원)
(’12) 205.8 → (’13) 216.4 → (’14) 238.9 → (’15) 259.1 → (’16) 280.4전망되고 있어요.
복지예산의 가파른 증가에 따른 복지재정의 지속가능성 논란 지속은 향후 중요한 논점이 될 것이에요.
복지지출 증가율이 OECD 국가 평균에 비해 약 2.5배 빠른 속도이고,
향후 고령화 속도 등을 감안시 복지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에 대한 우려 증가되고 있어요.
공공사회복지예산 증가율(OECD STAT 2010 기준)은
한국 14.2%, OECD 평균 6.3%이라고 해요.
국고보조사업 지방비 매칭문제의 복지예산 증가는
중앙과 지자체의 복지재원분담 및 지자체의 복지재정부담에 대한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요.
최근 0~5세 무상보육 확대에 따른 지방비 매칭비율 부분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갈등이 가시적으로 보인 사례가 있어요.
'사회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소득층 희망저축 희망키움통장 가입대상 (0) | 2014.02.27 |
---|---|
최지우 YG 이적, 양현석과 함께 한류를?? (0) | 2014.02.27 |
미래유망기술 어떤 모습일까요? (0) | 2014.02.23 |
UN세계행복보고서 우리나라 순위와 행복 (0) | 2014.02.22 |
슈퍼컴퓨터 기능 활용분야 (0) | 2014.02.20 |
운전중 DMB 시청 벌금 승합차 7만원, 승용차 6만원, 이륜차 4만원, 자전거 3만원 (0) | 2014.02.18 |
선행학습금지법 내용 국회 통과 (0) | 2014.02.18 |
일본 초고령사회 지원하는 인터넷 편의점 택배 (0) | 201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