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생활

공무원 유연근무제 종류

by 클래식월드 2014. 1. 28.

공무원 유연근무제 종류

 

 

유연근무제가 가장 잘 활성화된 페이스북, 구글 등의 기업문화는

근무제의 종류, 방법 등이 다양하여 우수한 인재들이 모여들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기업의 실적도 크게 향상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셨나요??

세계 각 나라의 공무원 유연근무제 종류 및 운영 현황을 보면

미국의 경우 연방공무원 1996만명

일본은 현재 전체근로자의 15%(1,000만명)가 원격근무를 시행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 국가공무원 20%(10만명), 지방공무원 50%(130만명)가 시간제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상황

 

 

그러면 최근 시행하고 있는 공무원 유연근무제의 종류는??

 

 

          시간제근무 : 40시간보다 짧은 시간 근무

 

탄력근무제 : 40시간 근무하되, 출퇴근시각·근무시간·근무일을 자율 조정

 ◦시차출퇴근형 :18시간 근무체제 유지

  - 매일 같은 출근시각(07:00~10:00 선택)

  - 요일마다 다른 출근시각(07:00~10:00 선택)

 ◦근무시간선택

   ▸ 1412시간 근무

   ▸ 5일 근무

 ◦집약근무형

   ▸ 11012시간 근무

   3.54일 근무

 ◦재량근무형

   출퇴근의무 없이 프로젝트 수행으로 주40시간 인정

    * 고도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필요해 업무수행 방법이나 시간배분을 담당자의 재량에 맡길 필요가 있는 분야

   

원격근무제 : 특정한 근무장소를 정하지 않고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근무

  재택근무형 사무실이 아닌 자택에서 근무

    스마트워크 근무형 자택 인근 스마트워크센터 등 별도 사무실 근무

   모바일기기를 이용, 사무실이 아닌 장소에서 근무

   

          등의 여러 가지 유연근무 종류가 있어요..

 

하지만 실제로 많이 적용되고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해요.

직장내에서 많은 눈치가 보일 수 밖에 없는 현실...

 

많은 국가 부처에서 유연근무제를 형식 상으로 운영할 것이 아니라

실제 필요한 부분에 적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자유롭게 활성화 하는 것이 중요!!!

 

 

 

우리나라도 공무원의 특성에 맞는 범위 내에서

자율적 유연근무제 종류를 선택 실시하여

우리나라도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으로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공무원클럽 김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