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소식

공무원 승진소요연수에 따른 직급별 최저연수

by 클래식월드 2014. 2. 9.

무원 승진소요연수에 따른 직급별 최저연수

 

안녕하세요^^

공무원클럽 김주사입니다.

 

최근 육아휴직 전에 승진소요연수가 차다 승진하고 휴직 들어가신 선배,

벌써67년차라고 해서 대우공무원이라고 하는 선배의 이야기를 듣고

그러면 공무원 승진소요연수는 어떻게 되는 걸까?? 의문이 들어 찾아보았습니다.

 

 

그러면 알아볼까요??

각 직급별 승진소요 최저연수는

4(3년 이상) -> 3

5(4년 이상) -> 4

6(36개월 이상) -> 5

7(2년 이상) -> 6

8(2년 이상) -> 7

9(16개월 이상) -> 8

 

이렇게 총 정리하면 3급에서 9급까지 총 16년이 걸리게 되어 있어요.(개정 전 22)

 

 

또한

해당직급에서 7년 이상 근무하였으면 대우공무원으로 임명돼요

대우공무원은 현재 6급이지만 5급사무관 대우를 해준다고 하는 것으로

대우공무원 수당이 나오게 되어 있어요.

 

하지만 이렇게 공무원 직급별 승진소요 최저연수가 찾다고

모두 승진이 바로바로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승진을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결국 승진을 할 수 있는 자리가 많아야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대부분의 국가부처(기획재정부, 교육부, 해양수산부, 미래창조과학부 등)중에

승진이 잘되는 부처가 있는가 하면

지방자치단체(각 시청, 도청, 구청 등)9급으로 들어갔다면

 6급으로 퇴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들었어요.

그리고 초임발령을 받기 위해 부처를 선택할 때 잘 선택 해야 겠네요..

 

 

 

12년도에 개정된 공무원 승진소요연수는

실제 효과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며 대우공무원의 증가로

국가의 재정적 압박이 심해지고 있어요.

이렇게 승진대상자가 많아지고 승진대기 기간이 계속 늘어날 경우에

인건비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우려가 생겨요.

 

결국 각 부처별로 직급체계별 효율화를 위해 제도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 같아요.

 

또한 주변에서 들은 이야기로 만약에 부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면

예를 들어 원자력안전사고 문제가 발생해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조직이 60명에서 120명으로 늘어났다면

그 부처는 승진자리가 매우매우 많다고 할 수 있어요.(대부분 바로 승진)

 혹은 부처가 2개로 나눠졌지고 인원수가 증가할 때엔 아주아주 좋다고 할 수 있어요. 

적어도 이번에 바뀐 공무원 승진소요연수로 인해

공직사회에서도 능력있는 사람이 승진될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이 만들어 졌다고 생각해요.

각 부처별로 직급체계별 효율화를 한다면 좋을 것이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