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소식

PSAT 공직적격성평가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by 클래식월드 2014. 2. 22.

PSAT 공직적격성평가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안녕하세요^^공무원클럽 김주사입니다.

PSAT 공직적격성평가란 무엇일까요??

 

PSAT은 공직적격성평가로 Public Service Aptitude Test의 약자인데요.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상황판단영역의 3가지로 나눠요.

각각 40문항으로 이루어져서 하루 동안 시험을 보게 되어있어요.

 

PSAT은 공직적격성평가는 특정과목의 전문지식을 평가하기 보다는

공직자로서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과자질,

즉 논리적·비판적 사고능력, 자료의 분석 및 정보추론능력, 판단 및 의사

결정능력 등의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시험이에요.

 

PSAT은 공직적격성평가는

2004년 외무고시에서 PSAT + 헌법, 한국사, (영어*) 최초시행을 했는데요.

 

평가영역을 구체적으로 보면

언어논리영역 40문항 90100점으로 구성되고

글의 이해, 표현, 추론, 비판과 논리적 사고 등의 능력 검정이에요

고등학교의 언어영역과 비슷한 양상으로 지문의 길이가 길어요,

 

자료해석영역은 40문항 90100점으로 구성되고

수치자료의 정리와 이해, 처리와 응용계산, 분석과 정보추출 등의 능력 검정

도표, 그래프 등의 자료를 분석하는 것인데요.

 

상황판단영역은 40문항 90100점으로 구성되고

상황의 이해, 추론 및 분석, 문제해결, 판단과 의사결정 등의 능력 검정

종합적인 정책의 방향이나 분석, 방향을 추론해 내는 것이에요.

 

2005

행정(행정외무고시 PSAT + 헌법, 한국사, (영어*)

확대도입으로

행정(기술)고시 PSAT + 한국사, (영어*), 직렬별 선택 1과목

 

2006

행정(행정외무고시 PSAT, 헌법, (영어*) 상황판단

행정(기술)고시 PSAT, (영어*), 직렬별 선택1과목 독자출제

 

2007년 행정·외무고시 PSAT, (영어*)

2012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PSAT, (영어*), (한국사*)

2013년 외교관후보자선발시험 PSAT, (영어*), (한국사*), (2외국어*)

 

영어 및 제2외국어 과목은 민간 능력검정시험으로,

한국사 과목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되었어요.

영어와 한국사 과목은 기준 이상 만을 충족하면 되는 요건인데요,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영어는

TOEFL PBT 530 CBT 197 IBT 71

TOEIC 700

TEPS 625

G-TELP 65

FLEX (level2) 625라고 해요.

 

2005년부터 견습직원(7급 지역인재) 선발시험에 적용되었어요.

 

특히 이 PSAT 공직적격성평가는 1~2개월 공부를 하면 점수가 나온다고 하는데요.

첫 번째 학교다닐 때 초중고의 기본기가 중요하다고 하네요.

대부분 1차는 쉽게 된다고 하지만

2차 전공시험 서술평가에서 합격의 당락이 결정된다고 해요.